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제목 | 방통위 「2021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결과, | ||
---|---|---|---|
담당부서 | 인터넷이용자정책과 | 작성자 | 박준희 |
공공누리 | 유형 | 연락처 | 02-2110-1527 |
첨부파일 |
![]() ![]() ![]() ![]() |
등록일 | 2022-03-07 |
방송통신위원회(위원장 한상혁, 이하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소방청ㆍ해양경찰청) 및 경찰관서에서 긴급구조를 위해 활용되는 개인위치정보 품질을 측정한 결과,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성공률*과 정확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 위치성공률 : 위치정확도 50m이내 & 응답시간 30초 이내로 수신된 비율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은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이통3사 및 기타 단말기의 측위기술(기지국ㆍGPSㆍWi-Fi)에 대해 단말기의 GPS와 Wi-Fi 기능이 “꺼진(Off)”열악한 상태에서 긴급상황 발생 시 단말기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켜서(On)”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 측정한 것이다. 방통위는 긴급구조기관 및 경찰관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조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을 측정하고, 2019년부터 매년 그 결과를 공개해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향상을 유도하고 있다. 이번 품질측정 결과, 이통3사의 긴급구조 위치성공률이 GPS 방식은 86.5, Wi-Fi 방식은 86.6으로 나타나는 등 전년 대비 GPSㆍWi-Fiㆍ기지국 등 각 측위방식에 대한 위치성공률과 위치정확도가 개선*되었다. * 위치성공률 : GPS 82.9%→86.5%, Wi-Fi 82.3%→86.6% 위치정확도 : GPS 60.3m→53.8m, Wi-Fi 61.9m→56.1m, 기지국 225.5m→146.3m < 이통3사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 주요결과 > GPS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SKT 98.6%, KT 96.3%, LGU+ 64.5% 순이고,위치정확도는 SKT 27.2m, KT 29.8m, LGU+ 77.8m 순으로 SKT가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GU+의 위치성공률?위치정확도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2020년 대비, 이통3사 평균 GPS 위치성공률은 82.9%에서 86.5%로, 위치정확도는 60.3m에서 53.8m로 개선되었다. Wi-Fi 방식 측정 결과, 위치성공률은 SKT 97.7%, KT 95.7%, LGU+ 66.5%, 위치정확도는 SKT 29.4m, KT 37.9m, LGU+ 76.9m로 SKT와 KT는 양호하나, LGU+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Wi-Fi 위치성공률은 82.3%에서 86.6%로, 위치정확도는 61.9m에서 56.1m로 개선되었다. 기지국 방식 측정 결과, 위치정확도는 SKT 82.0m, KT 168.4m, LGU+ 157.7m로, 위치응답시간은 KT 1.2초, SKT 1.7초, LGU+ 11.8초로 SKT와 KT는 양호하나, LGU+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위치정확도는 225.5m에서 146.3m로 개선되었으나, 위치응답시간은 1.9초에서 4.9초로 하락하였다. ※ 기지국 측위기술 특성상 거리(50M 이내)를 만족하기 곤란하여, 위치성공률 측정은 제외 < 기타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 주요결과 > 이통3사 이외의 기타 단말기의 위치정보 품질 측정 결과, 기지국 위치정보의 경우는 주요 외산(외국 제조사) 단말기ㆍ자급제(일반시장 판매) 단말기ㆍ알뜰폰(이동전화 재판매) 단말기ㆍ유심(USIM)이동(이동통신사 변경) 단말기 모두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GPSㆍWi-Fi 위치정보는 이용하는 단말기의 측위기술 적용여부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나, 2020년보다는 점진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애플(iPhone 13 Pro Max)의 경우 GPS는 긴급통화 중에만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Wi-Fi는 이통3사 측위모듈이 탑재되지 않아 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샤오미(Mi11)?화웨이(P50 Pro)의 경우, GPSㆍWi-Fi 모두 이통3사 측위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외산폰의 경우에는 기지국을 제외하고는 GPSㆍWi-Fi 위치측위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긴급구조 시 정밀위치측위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상혁 위원장은 “이번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토대로 위급상황에서 구조자의 위치정보가 긴급구조기관 등에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및 사업자와 협의하여 기술개발과 제도개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 2021년 긴급구조 목적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 끝. |
이전글 | 방통위, 인터넷기업협회 박성호 회장 초청 강연 개최2022-03-04 |
---|---|
다음글 | 인앱결제 강제 금지 관련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 국무회의 의결2022-03-08 |
![]() |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