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민원은 줄었지만 성능은 아직도?
제목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민원은 줄었지만 성능은 아직도?
담당부서 침해사고대응담당 작성자 정재훈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02-750-2755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스파이웨어제거프로그램실태조사보도자료.hwp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08-08-07
방송통신위원회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을 통하여 『08년 상반기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아직도 일부 제거 프로그램은 성능 및 설치과정 등에 문제점이 있다고 밝혔다.

※ 스파이웨어(Spyware) : 스파이(Spy)와 소프트웨어의 합성어로 사용자의 동의없이 설치되어 인터넷 시작페이지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컴퓨터의 주요 정보를 유출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하는 프로그램

방통위는 특히 일반 게시판 등을 통해 배포되는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의 경우 이용자들이 이용약관, 유료 여부 및 업체 홈페이지 등을 반드시 확인하고 설치할 것을 권고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08년 6월 기준으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유료 107종, 무료 15종 등 총 122종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항목은 프로그램 설치시 동의 여부, 스파이웨어 치료성능, 추가프로그램 설치 여부 등 36개 항목이며 해당 사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되는 프로그램을 기준으로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프로그램 설치시 동의 절차가 명확하지 않은 프로그램이 20%(25종)로 나타났으며, 이는 ‘07년도 하반기 실태조사 당시 34%(41종)와 비교하여 14% 감소한 수치이다.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의 성능시험은 ‘08년 상반기에 확보된 1,500개의 주요 스파이웨어 샘플을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이 스파이웨어 샘플을 얼마나 탐지·치료할 수 있는 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1,500개 스파이웨어 샘플 중 10%(150개) 이상을 진단한 프로그램이 26종(21%), 150개 미만을 진단한 프로그램이 85종(69%), 기타(프로그램 실행오류 등)가 11종(9%)으로 나타났으며

많은 제거프로그램들이 단순 파일명이나 레지스트리명 검색 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스파이웨어의 파일명이나 설치 폴더가 바뀌면 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상위 12종(10%) 프로그램 중에는 무료로 배포되고 있는 5종의 프로그램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 밖에, 설치시 추가적으로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10종, 설치시 이용약관이 미비한 프로그램 38종, 탐지된 스파이웨어가 완벽히 제거되지 않은 프로그램이 37종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08년 상반기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스파이웨어 제거프로그램 관련 민원건수는 158건으로 ’07년 상반기 499건에 비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조사결과 이용약관 미비 등 62종에 대해서는 한국소비자원 등 관련 기관에 조치를 요청하였고, 설치시 명시적인 동의 절차가 없는 25종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계도조치를 할 계획이다.

붙임 1. 실태조사 결과 주요내역
2. 치료성능 상위 10%(12종) 프로그램
3. 한국소비자원 민원 통계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북경올림픽을 활용하여 한국의 첨단 방송통신서비스와 기술 홍보2008-08-06
다음글 제24차위원회회의 결과 2008-08-07
공공누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방송통신위원회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운영지원과  02-2110-1354 , 확인날짜 : 2023-03-20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1.11.25 ~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