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림마당보도자료

알림소식
  • 알림마당
  • 보도자료
본문 시작

보도자료

방송통신위원회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방송통신위원회 활동과 정책에 관련된 언론 보도자료를 게시하고 있습니다.

인터넷경제, 앞으로 10년 어떻게 바뀌나?
제목 인터넷경제, 앞으로 10년 어떻게 바뀌나?
담당부서 대변인실 작성자 이경민
공공누리 유형 연락처 750-2861
첨부파일 파일 아이콘 Shaping Policies eng(OECD 정책지침안).doc  다운로드 뷰어보기
등록일 2008-05-22
OECD‘2008 서울 장관회의’ 정책지침안 발표


오는 6월 17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08 OECD 장관회의’를 앞두고, OECD는 ‘인터넷 경제의 미래에 관한 정책 수립’이라는 보고서를 5월 21일 자로 대외에 공개했다. 동 보고서는 OECD 장관회의 참가 장관 및 민간 CEO 등 세계 저명인사들이 인터넷 경제를 논하고 ‘서울선언문’을 작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OECD는 인터넷 기반 경제 진흥, 정보통신, 소비자정책, 교육, 공공행정, 보건, 개발 등 여러분야의 그동안 논의결과 및 정책권고사항 등을 통할하여 인터넷 경제에 관한 통합 보고서를 발표한 것이다. 동 보고서는 UN 등 다른 국제기구 등에도 전달되어 OECD 회원국은 물론 비회원국들이 인터넷 경제에 관한 정책입안시 지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2008 OECD 장관회의’ 폐막 직후 발표되는 ‘서울선언문’은 견실한 인터넷 경제의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참가 장관들의 정책 비전을 공유하고 인터넷의 발전을 위해서 해야할 일들을 제시하며 상호협력r강화를 천명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30여 년 전의 ‘미국독립선언문’이 현재의 미국을 있게 한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온 것처럼, 미래 인터넷 세상의 발전에 큰 획을 긋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통신, 경제, 산업무역, 환경, 복지 등 정책을 관장하는 36개국 장관을 비롯하여, 글로벌 IT기업 CEO, 시민단체, 국제기구 지도자, 관련 학자 등 인터넷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세계적 인물들이 모이는 이유가 무엇일까. 그것은 우리 일상생활 깊숙이 자리 잡아 없어서는 안 될 요소로 훌쩍 성장해 버린 인터넷의 사회·경제적 중요성을 다함께 인지하고, 궁극적으로 인터넷 경제가 인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중추 역학을 할 수 있는 범지구적 정책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서울 OECD장관회의의 주제는 ‘인터넷 경제의 미래’를 규정하는 창의(Creativity), 신뢰(Confidence), 융합(Convergence)이다. 인터넷 경제 활동의 결과로 우리가 도달하고자 하는 ‘경제성과 및 사회복지의 증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차세대 네트워크로의 무난한 전환을 통한 플랫폼의 ‘융합’이 전제되어야 하고, 이러한 융합과 ICT 기술의 발전에 바탕을 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컨텐츠, 서로 ‘신뢰’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이 모든 진정한 ‘글로벌 인터넷 경제’를 가능하게 하는 바탕은 전 세계의 모든 국민에게 인터넷이 접근 가능하며 보편적이도록 하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이 다섯 가지 상호 유기적인 주제들이 이번 정책지침안의 기본 틀을 이루고 있으며, 2008 장관회의의 프로그램 또한 이에 맞추어 구성된 것이다.

1998년 캐나다 오타와에서 ‘전자상거래’를 주제로 열린 OECD 장관회의의 결과, 당시 걸음마를 갓 떼던 전자상거래의 거래 규모가 2007년 전 세계적으로 7조 달러에 달하는 등 10년간 7000배의 초고속 성장을 기록(IDC 추정치)하는데 결정적인 견인차 역할을 했다. 2008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는 인터넷 경제의 미래에 관한 OECD장관회의에서는 컨버전스로 대변되는 유비쿼터스 인터넷 세상이 활짝 꽃피게 될 ‘다음 디지털 10년’(second digital decade; 빌게이츠)을 가져올 법제도적인 환경이 마련될 전망이다. (끝)

목록

이전글, 다음글
이전글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시행령 공청회 개최2008-05-22
다음글 개인정보보호 의무위반자에 대한 제재수준 대폭 강화2008-05-22
공공누리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방송통신위원회의 해당 저작물은 "공공누리 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만족도평가
  •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항목관리자 홍보담당관  02-2110-1339 , 확인날짜 : 2023-03-20
13809 경기도 과천시 관문로 47, 2동

민원안내 : 02-500-9000(평일 09:00~18:00), 팩스 : 02-2110-0153

Copyright ©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All Rights reserved.

개인정보보호 우수 사이트 안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WA(WEB접근성) 품질인증 마크, 웹와치(WebWatch) 2021.11.25 ~ 2022.11.25